피코나(Picona) & 댑핑(dapping),의
"디앱(DAPP)" - 비트코인트(bitcoint)를
하면서 우리가 알아야할 상식
블록체인 생태계는
메인넷이라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와
그 아래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이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는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운영체계
(OS, Operating System)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애플의 경우에는 IOS라는 독자적인 모바일
OS, 그 외의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라는
OS를 사용합니다.
IOS와 안드로이드 생태계 위에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사용됩니다.
여기서 안드로이드와 iOS가 ‘블록체인 생태계’,
그리고
OS를 사용해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작동하는 ‘DAPP’이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같은 메인넷과 기반 디앱들이 활성화 돼
하나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
기반 '인프라'가 중요합니다.
기존 서비스들이 블록체인화되면서 사용자
경험이 크게 바뀌어, 사업자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도 ★인프라는★ 중요
요소로 꼽힙니다.
1. 지갑
우선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을 관리하는
'지갑'을 꼽을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을 활용하는 디앱에서는 지갑을
먼저 연결한 뒤, 가상자산 보관부터 전송,
서비스 내 사용 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지갑은 가입 방식에 따라 KYC(고객확인)가
필요한 ▲중앙화 지갑과 KYC 절차 없이
가입 가능한 ▲탈중앙화 지갑, 두 형태가
있습니다.
지갑을 생성하면 은행 계좌번호의 역할을
하는 개인 지갑주소가 만들어집니다.
탈중앙화 지갑에서는 이 주소가 곧 본인임을
증명하는 아이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탈중앙화 지갑인 이더리움 기반
'메타마스크(Metamask)'는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폴리곤과 클레이튼 등 다른 네트워크도
지원합니다.
2. 거래소
가상자산 거래소도 중요한 블록체인
인프라입니다.
코인과 토큰을 모두 일컫는 가상자산을 원화나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로 바꾸거나 다른
가상자산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거래소'를
거쳐야 합니다.
거래소 또한 고객확인(KYC)를 거쳐 사용 가능한
중앙화 거래소(바이낸스, 업비트 등)가 있으며,
KYC 절차 없이 사용 가능한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 스시스왑 등)로 나뉩니다.
2-1. CEX
중앙화 거래소는 CEX(Centralized Exchaange)
라고 부르며, 중앙화된 중개인이 거래를 중개하는
형태입니다.
중앙화된 주체가 거래소를 운영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검증된 토큰만 거래를 지원하며
사용자의 자산을 직접 보관 관리합니다.
CEX는 법정화폐 기반 마켓을 지원하기에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현금화 창구 역할을
합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주식 거래소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주식 거래소처럼 각국의
정부 규제 하에 가상자산 거래를 중개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다양한 보호 장치 아래서 투자자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거래소가 정부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
중개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점 또한 명확
합니다.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거래소
지갑만 사용 가능하며, 개인이 소유한 자산도
거래소의 통제를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거래소가 개인의 자산 입출금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화 거래소가 지원하는 거래는
오프체인으로 이루어져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만큼 거래소의 장부 조작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2-2. DEX
탈중앙화 거래소는
DEX(Decentralized Exchange)라고 부르며,
중개인이 아닌 특정 코드에 이뤄지는 계약 즉,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기반한
탈중앙화 형태입니다.
이는 중앙화 거래소의 한계에 대응하여 탄생한
개념입니다.
중앙화 거래소의 장부 거래 문제가 불거지면서
신뢰를 잃은 사용자들은 가상자산 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소까지도
탈중앙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배경에서 탄생한 것이 탈중앙화 거래소
입니다.
DEX의 경우 거래소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고, 다른 투자자의 거래 내역 역시
투명하게 조회할 수 있어 부당한 거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아직 DEX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계좌 인증 등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 없이도
거래가 가능하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한
조건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DEX는 자금 세탁의 도구로 악용되기도
하고, 법정 화폐 거래를 지원하지 않으며,
유동성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 투자자들은 목적에 따라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를 선택적으로
활용하고 있고, 두 형태의 거래소는 상호
보완하는 관계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양립하고 있습니다.
브릿지
블록체인 브릿지는 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브릿지는 일종의 환전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트코인을 이더리움으로
교환하고 싶다면 먼저 비트코인을 시장에
매각하여 현금화하고, 이후 이더리움을 구매
해야 합니다.
이 비효율적인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브릿지입니다.
보유한 비트코인을 판매하고 이더리움을
매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브릿지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상호 운용성을 향상시켜 블록체인 생태계의
확장성을 증대할 수 있는 주요한 인프라
요소입니다.
DAO
중앙화된 특정 주체에 따른 의사결정이 아닌
조직이 운영되게끔 하는 일련의 규칙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 의사결정을 하는
방식으로, 이를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라고 부릅니다.
오라클이란
오라클이란 블록체인 외부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으로 가져오는 미들웨어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외부와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위해서 오로지
블록체인 내부에서 생성되고 검증된
데이터만 신뢰하기 때문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등장하고
나서부터 블록체인 위에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올릴 수 있게 됐습니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의 등장으로 블록체인의
활용 범위가 확장된 것입니다.
블록체인과 Web 3.0의 관계
Web 3.0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가 없이도 온라인상에 디지털
자산 소유와 온라인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웹이다.
비트코인트 설치하는 주소:
https://app.bitcoint.io/
지갑 설치후 레퍼널 등록:댓글에서
CF172c6BDD77f19Cd42BbA7b006C0E71b8ef7bCF
비트코인트 (bitcoint) 등록하는 방법:
https://youtu.be/uRzZd78DVMY?si=MtPDLYz9DYN-AHKy
초대밴드:https://band.us/@makingmoney
blog: https://tokenbiz.blogspot.com
#Bitcoint #비트코인트 #dapping #댑핑
#탈중앙화지갑 #DEX #BTC #Bitcoin
#Picona #피코나 #크로스체인 #브릿지
#CrossChain #Bridge #하이브리드 #dApp
#디앱 #DAO #다오
CF172c6BDD77f19Cd42BbA7b006C0E71b8ef7bCF
답글삭제